왜 가져왔나요

<aside> ☝🏻 인터랙션 디자인을 하는 우리 연구실, 예측 불가능한 Challenges를 자주 마주침

거시적인 관점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들 인지/대비하기. 잠시 고개를 들어 숲을 보는...

</aside>

어떤 연구인가요

<aside> ☝🏻 HCI 디자이너들은 AI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해 고군분투

AI 시스템을 설계하다 보면 예상치 않은 결과(추론 오류나 사회적 문제 등)이 발생함

HCI 연구자의 입장에서, 도대체 무엇이 AI를 다르게 만들고, 인터랙션 프로토타이핑을 어렵게 만드나?

</aside>

<aside> ☝🏻 이 연구의 흐름

  1. 선행 연구들에서 언급한 UX Design Challenges는 무엇인가?

  2. 질문 던지기 (이런 Challenges들은 왜 생기지? AI의 특성 때문인 걸까?)

  1. 일단 AI가 뭔데? 2) end product 말고, 전체적인 AI의 가능성과 한계가 뭔데?
  2. 왜 AI 프로토타이핑이 어려운 건데?
  1. 저자들의 케이스 스터디 데이터들(DIS 및 CHI 투고된 프로젝트, 교육 경험, 전문가 인터뷰 등)을 활용해, AI만의 유별난 특성 & AI 인터랙션 챌린지의 프레임워크 도출 </aside>

공유 포인트 세 가지

<aside> ☝🏻 1. 연구 단계에 따른 UX design challenges (선행 연구)

  1. AI가 유독 디자인하기 어려운 이유 두 가지 (본 연구)
  2. 두 이유 기반 새로운 프레임워크 & Design Challenges (본 연구) </aside>

즉, 두 개의 프레임워크를 공유하려고 합니다

선행 연구 기반 프레임워크 / 본 연구 기반 프레임워크

1. 연구 단계에 따른 UX Design Challenges (선행 연구)

2. AI가 유독 디자인하기 어려운 이유 두 가지 (본 연구)

3. 새로운 프레임워크 & Design Challenges (본 연구)